1.일과성 허혈발작(TIA) : 일과성 허혈발작이란 국소범위의 뇌혈관에 일시적인 기능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급성 국소적 신경학적 장애가 수분~24시간 이내에 호전되는 경우를 말한다. TIA는 조기 경고증상으로, 뇌혈관 장애가 발생하기 수 시간(또는 수 일)전에 나타나지만 대부분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되는데, 여러번 경험하는 사람도 있고, 단 한번 경험하는 사람도 있으며, TIA 후에 뇌경색이 발생되는 빈도가 높기 대문에 TIA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경색 발생율은 TIA 후 첫 1년 이내, 특히 첫 1개월 이내에 가장 높고, 입원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이다.
㉠ 경동맥 일과성 허혈발작 : ㉮안동맥에서 기원하면 흑내장(일과성 단안맹), ㉯중대뇌동맥에서 기원하면 손, 팔, 아래쪽 얼굴, 가끔 하지의 일시적 감각이상, 마비가 나타나고, ㉰우성 대뇌반구를 침범하면 실어증이 온다.
㉡ 추골 기정동맥 일과성 허혈발작 : 구음장애, 연하곤란, 보행과 사지의 운동실조, 현훈, 안면 감각이상, 반대편이나 양측 팔, 다리마비 및 감각이상, 복시, 일측성, 또는 양측성 동측반맹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 혈전성 일과성 허혈발작 : 일시적인 반신부전, 언어장애, 편측 감각마비가 나타난다.
㉣ 색전성 뇌졸중 : 일과성 허혈발작이 없이 갑자기 나타난다.
㉤ 고혈압성 뇌졸중 : 후두부나 경부의 심한 통증, 현기증, 실신, 감각이상, 일시적인 마비, 비출혈과 망막출혈이 TIA로 나타난다.
2. 잔여 허혈성 급성 신경학적 증상(residual ischemic neurologic deficit, RIND) : RIND란 TIA와 비슷한 증상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3주 이내에 완전히 회복되는 상태를 말하는데, 뇌경색 없이 계속되는 허혈시기에 나타나며, 뇌경색 발생빈도는 정상연령에 비해 6배정도 증가한다.
3. 완전경색(completed infarction, CI) : 갑작스런 국소적 뇌혈관 병변이 3주 이내에 호전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4. 진행성 뇌졸중(progressive stroke) : 몇몇 뇌졸중 환자는 점차 뇌허혈이 진행되면서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경동맥 뇌졸중은 24~48시간 이후 진행되는데, 증상은 첫 36시간 이내에 나타나고, 증상발생 후 첫 수주이내에 사망률이 10~12%를 차지한다. 증상은 뇌부종, 심각한 대뇌반구 장애, 혼수, 뇌탈출 증상이 동반되는데 뇌부종, 심한 반측마비, 의식장애, 반맹, 실어증이고, 전형적인 뇌부종이 진행성으로 나타날 때 사망률은 40%에 도달한다.
㉯추골기저동맥 뇌졸중은 96시간 진행되는데, 사망률은 27%이지만, 호수가 나타날 때 사망률은 80~90%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해외건강정보] 미처 몰랐던 사과의 효능 (0) | 2011.05.19 |
---|---|
[스크랩] Re: 베체트에 좋은 음식 (0) | 2010.07.21 |
[스크랩] 베체트병 구내염 치료기 - 10년이상 경과한 심한 구내염 환자 (0) | 2010.07.21 |
가을 곡식 5인방 보약처럼 먹는 법 (0) | 2008.09.04 |
여드름 관리하기 (0) | 2007.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