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디옥에서의 바울의 설교(행
13:16-41)
다음에 바울 설교 내용의 개요를 수록했는데 주의깊게 공부해 주시기를 부탁합니다.
인류의 구주, 예수 그리스도(행 13:16-41)
(1) 서론(16-22절)
1) 바울이 손을 흔들며, 청중을 찬사하는 말로 청중의 관심을 모음("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아16절")
2) 바울이 이스라엘 역사의 요점을 제시함(17-22절)
가) 하나님의 능하신 손의 구원으로 이스라엘이 속박에서 해방됨.
나)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배반하므로 40년간 광야에서 헤매게 됨.
다)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인도함을 받고 정착함(신 7:1).
라) 이스라엘이 하나님께서 세우신 사사들의 통치를 받음.
마) 종국에는 하나님께서 왕을 세우심. 첫째 왕은 사울(삼상 8장) 다음은 다윗왕을 세우심.
3) 위와 같은 유대 역사를 서술한 바울의 목적은?
가)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함. 유대인들은 저들의 지난날 영광스런 역사 이야기를 즐겨 들었다.
나) 기본적인 역사 얘기로 사실을 증명함. 바울이 말한 역사적 사실은 유대인들이 믿고 있는 그대로의 성서적 사실이었다.
다) 나사렛 예수가 메시야였음을 저들에게 확신시켜 주기 위하여 바울은 이스라엘 역사의 관문을 통하여 인류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가 오셨음을 증거했다.
(2) 설교의 본론, 인류의 구주, 예수 그리스도(23-29절)
1) 제안(提案) "예수는 구세주이시다(23,24)"
가) 다윗의 후계자로 오신 그리스도
나) 구세주가 오신 시기, 세례 요한이 회개의 세례를 전파할 때.
2) 세례 요한의 증거(25절)
가) 요한의 직접 증거 "나는 메시야가 아니다"
나) 요한의 고백 "나는 그의 신풀기도 감당치 못함이라 "
3) 그리스도의 죽음으로써 예언이 성취됨(26-29절)
가) 예루살렘 안의 유대인이 예수를 죽임. 이는 저들이 매 안식일마다 읽는 예언이 성취된 것인데 저들은 이를 이해하는데 실패했음.
나) 그리스도의 무죄함에도 불구하고 저들은 그리스도를 죽이려는 목적을 굽히지 않았다.
다) 만일 "그리스도가 무죄하다면 왜 그가 십자가에 못 박혔는가"라고 누가 논쟁한다면 바울이 여기에 대한 해답으로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이 선지자들의 예언한대로 죽음으로써 입증되었다고 했다.
4) 그리스도의 부활(30-37절)
가) "하나님께서 저를 살림심"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죄있는 자를 결코 다시 살리시지 않았을 것이다.
나) 사도들은 가장 분명하게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명할 자격을 부여 받았음.
다) 구약의 예언들은(시 2:7, 사 55:3, 시 16:10 참고) 예수 부활을 예언한 것임.
5) 그리스도를 통하여 사죄의 길이 열려졌다(38,39절).
(3) 결론(40,41절)
1) 베드로와 같이 청중에게 믿으라 또는 세례를 받으라는 권면을 하지 않았음. 아마 바울은 저들 청중이 그런 심적 상태에 들어가지 못함을 느꼈었는지 알 수 없다.
2) 경고. 하박국 1:5을 인용했는데 바울은 이 말씀을 누구나 그리스도에 대한 기쁜 소식을 거절하면 죄악을 범함을 경고함에 사용했다.
다음에 바울 설교 내용의 개요를 수록했는데 주의깊게 공부해 주시기를 부탁합니다.
인류의 구주, 예수 그리스도(행 13:16-41)
(1) 서론(16-22절)
1) 바울이 손을 흔들며, 청중을 찬사하는 말로 청중의 관심을 모음("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아16절")
2) 바울이 이스라엘 역사의 요점을 제시함(17-22절)
가) 하나님의 능하신 손의 구원으로 이스라엘이 속박에서 해방됨.
나)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배반하므로 40년간 광야에서 헤매게 됨.
다)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인도함을 받고 정착함(신 7:1).
라) 이스라엘이 하나님께서 세우신 사사들의 통치를 받음.
마) 종국에는 하나님께서 왕을 세우심. 첫째 왕은 사울(삼상 8장) 다음은 다윗왕을 세우심.
3) 위와 같은 유대 역사를 서술한 바울의 목적은?
가)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함. 유대인들은 저들의 지난날 영광스런 역사 이야기를 즐겨 들었다.
나) 기본적인 역사 얘기로 사실을 증명함. 바울이 말한 역사적 사실은 유대인들이 믿고 있는 그대로의 성서적 사실이었다.
다) 나사렛 예수가 메시야였음을 저들에게 확신시켜 주기 위하여 바울은 이스라엘 역사의 관문을 통하여 인류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가 오셨음을 증거했다.
(2) 설교의 본론, 인류의 구주, 예수 그리스도(23-29절)
1) 제안(提案) "예수는 구세주이시다(23,24)"
가) 다윗의 후계자로 오신 그리스도
나) 구세주가 오신 시기, 세례 요한이 회개의 세례를 전파할 때.
2) 세례 요한의 증거(25절)
가) 요한의 직접 증거 "나는 메시야가 아니다"
나) 요한의 고백 "나는 그의 신풀기도 감당치 못함이라 "
3) 그리스도의 죽음으로써 예언이 성취됨(26-29절)
가) 예루살렘 안의 유대인이 예수를 죽임. 이는 저들이 매 안식일마다 읽는 예언이 성취된 것인데 저들은 이를 이해하는데 실패했음.
나) 그리스도의 무죄함에도 불구하고 저들은 그리스도를 죽이려는 목적을 굽히지 않았다.
다) 만일 "그리스도가 무죄하다면 왜 그가 십자가에 못 박혔는가"라고 누가 논쟁한다면 바울이 여기에 대한 해답으로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이 선지자들의 예언한대로 죽음으로써 입증되었다고 했다.
4) 그리스도의 부활(30-37절)
가) "하나님께서 저를 살림심"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죄있는 자를 결코 다시 살리시지 않았을 것이다.
나) 사도들은 가장 분명하게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명할 자격을 부여 받았음.
다) 구약의 예언들은(시 2:7, 사 55:3, 시 16:10 참고) 예수 부활을 예언한 것임.
5) 그리스도를 통하여 사죄의 길이 열려졌다(38,39절).
(3) 결론(40,41절)
1) 베드로와 같이 청중에게 믿으라 또는 세례를 받으라는 권면을 하지 않았음. 아마 바울은 저들 청중이 그런 심적 상태에 들어가지 못함을 느꼈었는지 알 수 없다.
2) 경고. 하박국 1:5을 인용했는데 바울은 이 말씀을 누구나 그리스도에 대한 기쁜 소식을 거절하면 죄악을 범함을 경고함에 사용했다.
'기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호와 이레,삼마,,,,, (0) | 2006.03.28 |
---|---|
[스크랩] 성경지명 사전 (성경 인명사전..) (0) | 2005.11.03 |
레위기의 5대제사와 영적의미 (0) | 2005.09.07 |
요한복음 (0) | 2005.09.06 |
로마서 은사 연구 (0) | 2005.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