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나교는 "마하비라"라고 불리는 한 위대한 인물의 깨달음에서 비롯된 종교이다. 자이나교의 전통에 의하면 마하비라는 "티르탕카라" 라고
불리는 선지자 계열의 24번째 계승자이다.마하비라의 본명은 바르다마나로서 기원전 540년에 지금의 인도 비하르주 지방의 바이샬리 부근의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부처의 출가전의 이름과 똑 같은 싯다르타로서 유명한 크샤트리아계급의 우두머리였으며 어머니 트리샬라는 리차비족의 족장인
체타한 빔비사라 왕의 왕비였다. 이처럼 마가다의 왕족계급에 속하는 마하비라는 붓다와 마찬가지로 여려서는 왕족으로서의 호사스런 생활을 영위하다가
나이 30세에 출가하여 수행자가 되었다.
그후 12년 동안의 고행속에서 나체로 떠돌아 다니며 단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기까지 오랜
세월동안 엄격히 계율을 지키며 살았다. 12년이 지난후에 그는 모든 고통을 넘어서 궁극의 깨달음을 얻었고 이때부터 위대한 영웅이라는 의미의
마하비라 또는 정복자를 뜻하는 지나(jina)라고 불리게 되었다. 깨달음을 얻은 마하비라는 이후 30년간을 코살라, 마가다, 미틸라, 참파등지를
돌아다니며 자신의 깨달음을 전파하다가 기원전 468년 72살의 나이로 오늘날의 라지기르 근처에 있는 파바푸리에서 열반에 들었다. 이후 그를
따르는 제자들이 자이나라고 불리면서 자이나교라는 종교가 형성되었다.
불교와 마찬가지로 비정통(非正統) 브라만교에서 발생한 출가주의
종교이다. 불전에서 니간타(Nigantha:尼乾陀)라고 전하는 종교를, 석가와 같은 시대의 마하비라(Mahvra)가 재정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최고의 완성자를 지나(Jina:勝者)라 부르고, 그 가르침이라 하여 지나교 또는 자이나교라는 호칭이 생겼다. 불타에서 연유하여 '불교'라는
호칭이 생긴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 종교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마하비라의 가르침은 먼저 그는 돌과 먼지를 포함한 모든 사물에 영혼이 들어있으며
살아 있는 존재라고 믿었다. 따라서 이들은 "아힘사"를 그들의 제1 덕목으로 삼았으며 이것은 그들의 삶의 방식과 직업까지를 결정짓게 만들었다.
이 아힘사의 교리가 붓다로부터 온것인지 아님 인도전래의 사상에서 온것인지는 확언할 수없으나 이것은 분명히 비 브라만종교라는 것이다. 이외에도
자이나교는 거짓말을 하지 말 것,다른 사람의 물건을 훔치지 말 것, 사유재산을 소유하지 말 것, 금욕을 지킬것등을 다섯가지 기본적인 계율로
가르치고 있는데 이 가운데 처음 네가지는 마하비라 이전에 있었던 스승들의 가르침이었고 오직 다섯번째만이 그가 추가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불교의 오계와도 흡사하기도 하다. 또한 교조(敎祖)의 출신과 인간형성, 지리적·문화사적 배경, 교단 성립의 경위도 불교와 유사한 점이 많다.
인도에서 하나의 종교로 성립된 이후 불교·힌두교와 더불어 커다란 영향을 미쳐왔으므로, 인도의 전통적 문화와 그 유형 무형의 유산에 관해서
자이나교를 무시하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불교와 교단간의 밀접한 교섭은 양종교의 원시 경전에서도 여실히 엿볼 수 있다.
|